전체 글18 기와지붕, 단열과 배수의 과학적 해답 1. 기와지붕의 구조적 설계: 자연과 조화를 이룬 곡선기와지붕 구조, 곡선 설계, 자연 친화한옥의 기와지붕은 단순히 아름다운 외형을 위한 디자인이 아니다. 곡선을 그리며 부드럽게 휘어진 지붕의 형태는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기 위한 과학적 설계다. 일반적인 서양식 지붕이 직선적인 각도를 통해 빗물을 빠르게 흘려보내는 구조라면, 한옥의 기와지붕은 비와 바람의 흐름을 유연하게 받아들이면서 천천히 흘려보내는 방식이다. 이 완만한 곡선은 눈이 쌓이더라도 무게를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지붕 아래 공간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데도 탁월하다. 곡선 구조는 단순한 미학이 아닌, 기후와 환경에 대응하는 오랜 지혜의 집약체다.2. 기와의 단열 효과: 공기층이 만드는 온도 조절 시스템단열, 공기층, 자연 냉방기와지붕의 가장.. 2025. 4. 17. 전통 속 과학, 한옥 온돌과 복사열의 과학 1. 온돌, 바닥에서 시작된 한국의 난방 혁신온돌 시스템, 전통 난방 방식한옥의 대표적인 난방 기술인 온돌은 세계적으로도 유례없는 바닥 난방 시스템으로, 수천 년 전부터 한국의 주거문화 속에 뿌리내려 왔다. 온돌의 기본 구조는 아궁이에서 발생한 열기와 연기를 굴뚝까지 수평으로 통과시키며 바닥을 데우는 방식이다. 이는 단순한 난방을 넘어, 공간 효율성과 건강까지 고려한 설계였다. 특히 따뜻한 공기는 위로 상승하고, 차가운 공기는 아래로 깔리는 성질을 고려하여, 사람이 주로 생활하는 바닥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시스템은 매우 합리적이었다. 현대의 라디에이터나 온풍기와는 달리, 온돌은 자연 대류와 복사열을 통해 공간을 고르게 덥히는 원리를 갖고 있다. 이로 인해 한옥은 겨울철에도 쾌적하고 균일한 실내 환경을 유지.. 2025. 4. 16. 집이 바람길을 만든다? 한옥 마당 구조의 과학 1. 한옥 마당 구조의 과학적 설계: 바람길을 품은 집한옥은 단순히 고풍스러운 건축물이 아니라, 자연과의 조화를 고려해 정교하게 설계된 기후 대응형 건축물이다. 그중에서도 중심에 위치한 마당은 단순한 외부 공간이 아니라, 공기의 흐름을 조율하는 허브 역할을 한다. 마당은 사방이 건물로 둘러싸인 구조지만, 의도적으로 빈 공간을 남겨두어 바람이 머물고 흐르는 길을 만든다. 이 구조 덕분에 실내외의 온도 차이가 생기면 자연스러운 대류 현상이 일어나며, 실내의 더운 공기는 배출되고 시원한 공기는 내부로 유입된다. 마당을 기준으로 한옥의 각 실은 동선뿐 아니라 공기 순환의 경로로도 배치되었으며, 이는 현대 건축에서 환기 설계에 적용될 정도로 과학적인 설계다. 한옥은 실용성과 아름다움을 모두 품은 구조이자, 자연을.. 2025. 4. 15. 숨 쉬는 집을 만들기 위한 공간 레이아웃 1. 공기 흐름을 설계하다: 자연 환기를 위한 공간 배치의 기본‘숨 쉬는 집’의 핵심은 자연스럽고 효율적인 공기 흐름을 유도하는 공간 설계에 있다. 이는 단순히 창문을 많이 낸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 공간 내부의 배치, 방향, 높낮이, 구조적인 틈새까지 세심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먼저 중요한 것은 맞통풍 구조다. 집의 맞은편에 창이나 문을 두어 바람이 들어와 한쪽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길을 만드는 방식이다. 이때 공기의 흐름은 직선보다는 자연스럽게 굴곡지거나 흐트러지는 구조일 때 실내 전체에 환기가 잘 퍼진다. 특히 주방, 거실, 침실을 한 축으로 연결하는 구조는 공기의 흐름을 더욱 촉진시킨다. 창문의 위치도 바닥과 천장에서 각각 적절한 높이를 달리하면 상승 기류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배.. 2025. 4. 14. 한옥 천장은 왜 높을까? 공기 순환을 고려한 공간 설계 1. 높은 천장의 구조적 의도: 뜨거운 공기를 위로 보내는 설계한옥의 천장이 높은 데에는 단순한 미적 요소 이상의 과학적 이유가 숨어 있다. 한옥의 천장 구조는 여름철 내부 공간의 열기 제거와 깊은 관련이 있다. 공기는 따뜻할수록 위로 올라가는 성질이 있는데, 낮고 막힌 천장은 내부에 열을 가두는 반면, 한옥처럼 높은 천장은 뜨거운 공기가 위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여유로운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여름철, 햇빛에 달궈진 기와의 열이 실내로 전도되더라도 천장 고도가 높으면 실내 체감온도가 낮아진다. 전통 한옥은 이러한 기류의 성질을 예민하게 파악해, 공기의 대류 흐름을 유도하는 과학적인 공간 설계를 실현했다. 이는 오늘날 패시브 하우스나 에너지 절감형 건축에서도 배우는 부분이다. 높은 천장은 단지 멋을 위한.. 2025. 4. 14. 전통 건축의 놀라운 기술, 한옥 통풍의 과학적 원리 1. 기단 구조의 비밀: 바람이 지나가는 집, 한옥한옥의 통풍 시스템을 이해하려면 먼저 기단 구조에 주목해야 한다. 한옥은 일반적인 현대 주택과 달리 바닥이 땅과 맞닿아 있지 않고, 기단이라는 돌을 쌓은 구조물 위에 세워진다. 이 구조 덕분에 마루 아래 공간에 바람이 자유롭게 흐를 수 있는 길이 생긴다. 특히 대청마루 아래는 통풍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여름철에 더욱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들어낸다. 이는 단순한 전통양식이 아니라, 철저히 자연의 기류를 활용한 과학적 판단에서 비롯된 구조다. 여름엔 바람이 마루 밑을 통과하면서 열기를 식히고, 습기를 제거해 곰팡이 발생도 줄여준다. 또한 겨울철에는 마루 밑 공간이 외부 기온을 일정 부분 차단하여 실내로의 찬 공기 유입을 억제한다. 이는 자연 환기와 단.. 2025. 4. 13. 이전 1 2 3 다음